혈관 자율신경 자가검사

우리 몸의 택배 도로망? 혈관

암유전자 2022. 2. 3. 11:34

 우리 몸의 택배 도로망? 혈관

 

혈관(血管, blood vessel)

혈관은 동물의 체내에 존재하는 가느다란 관으로, 산소와 영양분을 실은 혈액을 온몸 구석구석 흘려 보내고 말초세포와 조직이 배설하는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받아들여 운반하여 배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혈관은 구조와 기능에 따라 동맥, 정맥, 모세혈관으로 나뉘며 동맥은 산소나 영양을 함유한 혈액을 심장에서 온몸으로 보내는 관으로, 점차 가늘어져 모세혈관으로 이어지며 모세혈관과 조직 사이에서 물질 교환이 이루어루어지고 모세혈관은 다시 모여 정맥이 되어 심장으로 돌아갑니다.

 

혈관

Blood vessels, Pk0001 CC BY

 

이러한 사람의 혈관은 총 길이가 120,000km에 이릅니다.

 

1. 동맥(動脈, artery)

동맥은 심장에서 온 몸으로 혈액을 나르는 혈관이며 동맥을 흐르는 혈액은 산소를 많이 함유하고 있어 선홍색을 띠고 있으며 종류는 폐동맥, 체동맥, 대동맥, 소동맥, 모세혈관으로 나뉩니다.

동맥벽은 정맥벽보다 두꺼우며 심장으로부터 압력이 높은 혈액을 받고 혈액이 지나간 뒤 원상태로 돌아갈 수 있도록 강한 벽과 탄력성을 가지고 있으며 동맥의 벽은 외막, 중막, 내막의 총 3개 막으로 구성된 혈관 중 동맥의 가장 안쪽의 내막은 동맥 안을 흐르는 혈액이 굳지 않고 지속적으로 흐를 수 있게 매끄러운 코팅이 되어있는 구조입니다.

 

동맥구조

동맥구조. 현대아산병원 CC BY

 

우리 몸의 혈액은 심장에서 동맥과 정맥을 거쳐 다시 심장으로 돌아오는데, 심장의 박동으로 신체의 각 조직에 산소와 영양분이 많은 혈액이 지나가는 혈관이 동맥이라고 합니다.

 

온몸의 동맥

Arterial System, Pk0001 CC BY

 

심장에서 나와 폐를 향해 흐르는 폐동맥은 동맥 혈관임에도 불구하고 산소가 적은 혈액이 흐르는데 산소가 적고 이산화탄소 및 노폐물이 많은 혈액을 정맥혈이라 하며 폐동맥은 정맥혈이 흐르는 유일한 동맥 혈관이며 폐동맥의 혈액은 폐에 도달하여 가스 교환이 이루어지고 호흡을 통해 이산화탄소가 배출됨과 동시에 산소가 보충됩니다.

 

2. 정맥(靜脈, vein)

정맥은 순환 기관에서 혈액을 심장 방향으로 운반하는 혈관이며 동맥과 마찬가지로 3층의 세포층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동맥보다 혈관벽이 얇고 대부분의 정맥 혈관은 산소를 적게 갖고 있는 혈액을 운반하지만 폐정맥의 경우는 산소량이 많은 혈액을 운반합니다.

 

온몸의 정맥

Venous system, Pk0001 CC BY

 

정맥은 혈관의 굵기에 따라 소정맥, 중간정맥, 큰정맥으로 분류하며 전체 혈액의 70% 이상이 흐르고 있습니다.

혈액량의 비율

위치 혈액량(%)
동맥 13
세동맥 및 모세혈관 7
정맥 64
심장 7
폐혈관 9

 

피부 바로 아래에 위치한 정맥을 표재정맥이라 하고 근육에 둘러싸여 있는 정맥을 심부정맥 그리고 둘을 연결하는 정맥을 교통정맥이라 하며 정맥은 비교적 심장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고 압력이 낮은 혈액이 흐르므로 벽이 얇고 직경이 크며 혈액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판막이 혈관 내에 존재하며 특히 팔, 다리의 정맥에 많이 분포합니다.

 

정맥의 판막

1: Blood flow 2: Valve, Mouagip CC BY

 

3. 모세혈관(毛細血管 capillary)

모세혈관은 소동맥과 소정맥을 연결하는 그물 모양의 매우 가는 혈관으로 탄성 섬유나 근육이 없는 한 층의 내피세포로 이루어진 혈관이며 굵기는 약 10μm 정도이고 적혈구가 겨우 지나갈 수 있는 크기며 혈액은 심장에서 동맥을 흘러 모세혈관을 지난 다음에는 정맥으로 이행하는데 혈류를 따라 측정한 모세혈관의 길이는 평균 0.5mm 정도이며 혈액은 보통 이곳을 0.5 ~ 1초에 통과합니다. 그 사이에 조직과의 사이에 물질 교환이 일어납니다.

인간의 모세혈관 전체를 하나로 이으면 지구를 몇 바퀴 돌 수 있는 길이입니다.

모세혈관에는 근육은 없으나 주()세포라는 수축력을 가진 특수한 세포가 달라붙어 있어 이것이 모세혈관을 보호하는 것이라고 추정되고 동맥 끝부분은 보통 모세혈관으로 이행하는데 직접 동맥으로 흘러 들어 가는 경로도 있습니다. 이것을 동정맥 문합(吻合)이라 하며 신체의 매우 넓은 부분에 존재하며 이 문합 가운데는 관벽에 민무늬근이 발달해 있어 혈액의 유량을 조절하는 것도 있습니다.

 

모세혈관

capillary, MEDART CC BY

 

이처럼 혈관은 우리 몸 구석구석 세포와 조직에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하고 노폐물(배출물)과 이산화탄소를 운반하는 중요한 통로이며 이 통로가 소통이 원활하면 건강한 삶을 살 수 있기에 혈관관리가 건강관리의 지름길입니다.

 

약식동원(藥食同原)

먹는 것이 약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