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증질환/치매 5

젊은 사람도 알츠하이머에 걸리는가? 그렇다

조발성(Early-Onset)알츠하이머병 조발성(Early-Onset)알츠하이머병이라고 불리우는 이 사례는 전체 알츠하이머 환자의 10%에 못 미치지만 비교적 젊은 이 환자들은 치료가 불가능한 현재의 의료수준으로 본인의 인생과 가족에게 큰 짐이 되고 있는게 사실이며 주요 관심사는 노년기의 환자와는 매우 다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한편 나이가 들면서 발생하는 노화에 따르는 기억력의 차이와 알츠하이머병으로 인한 기억력 차이는 확연하게 다르지만 젊은 나이에 이런 증상이 있다면 알츠하이머병의 전문의료인과 빠른 상담이 가장 필요합니다. 알츠하이머병과 정상적인 노화에 따른 기억력의 차이는 무엇인가? 알츠하이머병과 정상적인 노화 기억력의 차이 활동내역 알츠하이머병 정상적인 노화 망각 전반적으로 경험 부분적으로 경험 ..

중증질환/치매 2021.12.24

치매의 공범? 원인 질병들

치매 원인 질병들 치매의 원인이 되는 알츠하이머병 이외에 다른 질병은 다음과 같습니다. 크루즈펠트-제이콥스병 (Creutzfeldt-Jakob Disease,CJD) 감염에 의한 희귀하고 치명적인 뇌질환으로 증상은 기억력 쇠퇴, 행동의 변화, 근육조절기능의 부족 등으로 나타납니다. 이 병은 빠르게 진전되며 보통 1년 안에 사망에 이르고 현재 치료가 불가능합니다. 출처 Pract Neurol/CC BY 뇌경색성 치매 (Multi-Infarct Dementia, MID) 혈관 성 치매로도 알려져 있으며 다발성 중풍(뇌경색)으로 인한 뇌손상으로 시작되며 증상은 지각력 손상과 기억력 손실, 행동의 변화로 나타납니다. 이 병의 원인이 되는 고혈압, 당뇨병의 치료를 통해서 이 병의 진행을 멈출 수는 있습니다. 뇌수..

중증질환/치매 2021.12.24

치매의 주범? 알츠하이머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알츠하이머병은 기억력의 점진적인 퇴행을 가져오는 뇌의 이상에서 오는 병이며 알츠하이머병은 일상생활에 곤란을 겪을 정도의 심각한 사고, 기억, 추론 등 지적기능의 상실을 가져오는 치매(dementia)증에 이르게 됩니다. 독일의 의사였던 알로이스 알츠하이머(Alois Alzheimer)가 1906년 처음으로 이 질병에 대해서 언급하여 그의 이름을 따서 알츠하이머병(Alzheimer's disease 또는 AD)이라 명명하게 되었습니다. 현대 의학에서는 치료할 수 없는 질병으로, 시간이 지날수록 증상이 악화되며 결과적으로 죽음에 이릅니다. 알츠하이머병의 정확히 원인은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으며 70%정도는 유전적인 요인에 의해 발병하고 다른 원인으로는 두부 손..

중증질환/치매 2021.12.24

치매는 병이 아니라 증상?

치매는 증상 치매는 인지기능이 정상이었으나 후천적인 원인에 의해서 인지능력이 저하되어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는 상태이고 치매의 원인은 알츠하이머병, 루이소체치매, 정상압 수두증, 외상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데 그 중 알츠하이머병이 70%를 차지 합니다. 그러기 때문에 치매는 증상명인 것이고 알츠하이머가 대표적인 병명인 것입니다. 치매와 알츠하이머의 차이 항목 내용 치매 인지기능이 저하되어 일상생활에 지장이 있는 상태 알츠하이머 치매를 유발하는 대표적인 원인질환 출처 분당서울대학병원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증상 기억력 감퇴 언어능력의 저하 시공간능력의 저하 판단력 저하 이러한 알츠하이머병의 주요 증상을 본인이 인지하기는 어려운게 현실이고 병원에서의 정확한 진단이 필요합니다. 본인이 인지 저하를 스스로 ..

중증질환/치매 2021.12.14

내가 치매에 걸린다면? 조기진단 그리고 예방

내가 치매에 걸린다면? 치매란? 구분 내용 정의 후천적으로 기억, 언어, 판단력 등의 여러 영역의 인지기능이 감소하여 일상생활을 원활하게 하지 못하는 만성 중증질환 원인 뇌기능의 손상을 줄수 있는 모든 질환이 원인 1. 알츠하이머 (50~60%) 2; 혈관성치매 (20~30%) 3. 기타원인 증상 1. 기억력 저하 2. 언어장애 3. 시공간 파악능력 저하 4. 계산능력 저하 5. 성격변화와 감정의 변화 치료 치매의 원인이 다양하게 일어나고 아직 완벽한 치료법이 개발되지 않아 조기진단과 예방이 최우선 예방 1. 건전한 수준의 게임, 바둑, 카드놀이와 같은 인지능력을 요구하는 놀이 2. 신문이나 책을 읽거나 글쓰기 3. 생선, 야채를 즐겨 먹는 식습관 4. 인지능력을 향상시키는 꾸준한 걷기운동 5. 충분한 ..

중증질환/치매 2021.12.0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