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2

의사에게 살해 당하지 않는 47가지 방법

의사에게 살해당하지 않는 47가지 방법 책소개 의사의 친절에 가려진 불편한 의료 현장의 진실이 밝혀진다! 현직 전문의의 솔직한 고백 『의사에게 살해당하지 않는 47가지 방법』. 40년 동안 의사로 일해 온 곤도 마코토가 병원의 진료에 대한 불편한 진실을 폭로한 책이다. ‘암은 절제하지 않아야 낫는다’, ‘항암제는 대부분의 암에 효과가 없다’ 등 의료계의 상식을 뒤엎는 발언을 서슴지 않으며, 과잉 진료로 이어지는 조기 암 진단이나 지나친 건강검진으로 인한 피해를 막아준다. 그리고 병원과 약을 멀리함으로써 건강하게 살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그는 특히 병원에 자주 갈수록 불필요한 약이나 과도한 의료행위로 수명이 단축되기 쉽다고 강조하면서, 환자를 상품으로만 취급하는 의료 현실에서 자신보다 환자를 더 사랑..

모든 병은 몸속 정전기가 원인이다

모든 병은 몸속 정전기가 원인이다 책소개 몸속에 사는 정전기, 체내 정전기와 건강의 연관성을 밝히다! 체내 정전기와 질병의 관계를 다룬 『모든 병은 몸속 정전기가 원인이다』. 일본에서 난치병 치료로 잘 알려진 호리 야스노리 박사는 몸속 정전기와 건강의 관계를 최초로 밝힌 사람으로, 정전기의 생성 원리에 착안해 몸속 정전기를 연구하여 그 내용을 이 책에 담아냈다. 저자는 체표 정전기보다 훨씬 골치 아픈 질병을 만들어내는 원흉이 바로 체내 정전기라고 말한다. 이 책은 신경세포 손상부터 끈적한 혈액, 좁아진 혈관, 암세포의 생성 등 질병의 원인이 되는 현상들의 근원을 ‘몸속에 쌓인 정전기’로 보고, 체내 정전기가 어떻게 질병을 일으키는지를 구체적이고 과학적으로 설명한다. 몸속에 정전기를 쌓는 습관으로 아토피피..

맨발로 걸어라 : 땅이 주는 치유의 선물

맨발로 걸어라 : 땅이 주는 치유의 선물 책소개 돈이 들지 않고 부작용도 없이 암, 심혈관 · 뇌질환, 고혈압, 당뇨, 반신마비 등 각종 질병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맨발로 흙길을 걸어, 면역력을 높이고 코로나19와 바이러스로부터 자유로워지는 건강혁명을 시작하라. “약을 써서 몸을 보호하는 약보(藥補)보다 좋은 음식으로 원기를 보충하는 식보(食補)가 낫고, 식보보다는 걷는 행보(行補)가 낫다.” 조선시대 명의인 허준이 편찬한 《동의보감》에는 인간에게 걷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잘 드러나 있다. 유명한 병원을 다니고, 아무리 좋은 약을 먹어도 질병으로부터 벗어나기 어렵다. 면역력을 높이고 건강한 일상을 되찾을 수 있는 답은 어디에 있을까? 이 책은 사람이 맨발로 땅을 밟거나 접지할 때 땅속의 음(-)전하..

어싱 Eearthing 땅과의 접촉이 치유한다.

어싱 Eearthing 땅과의 접촉이 치유한다. 책소개 땅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하는 책. 케이블TV 산업의 선구자인 클린턴 오버가 '어싱'의 의료적 효과를 발견하게 된 과정을 기술하고 있다. 어싱이란 지구 표면과 우리 몸을 연결하는 것을 가리키는 용어로, 이러한 방법이 단절되었던 인간과 대지를 다시 이어주고 인간에게 에너지를 준다고 강조한다. 읽어 주는 책소개 https://www.youtube.com/watch?v=r4Opu9IJGU0&t=100s 출처 : 유튜브 책추남TV 저자소개 저자 : 클린턴 오버 저자 : 마틴 주커 저자 : 스티븐 시나트라 역자 : 김연주 목차 서문 : 제임스 오슈만 박사, 9 1부 우리는 왜 건강하지 못한가 - 잃어버린 고리 1. 인체에는 전기가 흐르고 ..

어싱(Eearthing)관련 서적 리스트

어싱(접지) 관련 서적 리스트 자연치유의 새로운 패러다임 어싱(접지)에 관한 서적을 소개하여 수 많은 질병에 시달리는 환자와 환자가족에게 도움을 주고자 하며 미리 어싱(Eearthing)을 습관화하고 자연치유에 대한 공부를 한다면 미래에 발생할 질병을 예방하여 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얻고자 하는데 리스트를 작성하는 목적이 있습니다. 1. 어싱 Eeathing : 땅과의 접촉이 치유한다. https://genelab2012.tistory.com/33 어싱 Eearthing 땅과의 접촉이 치유한다. 어싱 Eearthing 땅과의 접촉이 치유한다. 책소개 땅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새로운 해결책을 제시하는 책. 케이블TV 산업의 선구자인 클린턴 오버가 '어싱'의 의료적 효과를 발견하게 된 과정을 기술 genela..

스마트펄스 란? 분당심박수와 혈관 나이 측정

스마트펄스 란? 스마트펄스(Smart Pulse)는 심장박동의 미세한 변화를 정밀 분석하여 스트레스 상태와 맥파를 분석하여 평균(분당)심박수, 혈관노화, 혈액순환상태를 알 수 있는 휴대용 측정기기입니다. 맥파(PPG, Photo Plethysmograph) 맥파는 심장의 기계적인 운동과 혈행(혈액순환) 동태 관찰이 주목적이며 심장의 박동에 따른 흉벽(심장 벽) 및 대혈관(대동맥)의 박동을 파형으로 기록한 것으로 심장 주기에 따라 혈관벽 압 및 혈관 구경이 변동됨에 따라 말초 쪽으로 전파되어 지는 동맥계 파동의 변화를 맥파라 합니다. 좌심실의 수축에 의해 혈액이 대동맥으로 박출 – 대동맥 압에 변동 – 말초혈관까지 압/변동 전달(손끝까지 전달 시간 0.16sec) 스마트펄스 결과지 보는 방법 1. 평균 심..

분당심박수 10회를 떨어뜨리면? 기대 수명이 증가

분당심박수 10회를 떨어뜨리면? 기대 수명이 증가 심장은 끊임없이 뛰고 있으며 수축운동을 통해 동맥으로 혈액을 온몸 구석구석에 내보내고 다시 확장하며 정맥의 피를 받아들이는 심장의 펌프운동을 ‘심장박동’이라고 합니다. “생명은 최초의 심장박동으로 시작되며 마지막 박동으로 끝난다.” 라는 아리스토텔레스의 말처럼 심장박동은 생명유지를 위해 가장 중요한 활동입니다. 성인 기준 심장의 크기는 약 250~350g으로 주먹보다 조금 크며 심장은 심근이라는 근육으로 돼 있고 내부는 우심방과 우심실, 좌심방과 좌심실 4개의 방이 있습니다. 심장이 끊임없이 심장박동을 지속하는 동력원은 우심방에 있는 동방결절(洞房結節)이라는 곳에서 생기는 전기 신호이며 건강한 사람의 평상시 평균심장박동수(심박수)는 분당 60~100회 정..

잠을 자지 않는 장기? 심장

심장(心臟, heart) 심장(염통)은 순환계통의 혈관을 통해 혈액을 순환시키는 근육 기관이며 내보내진 혈액은 폐로 이산화탄소와 같은 대사폐물을 운반하면서 산소와 영양분을 몸에 공급합니다. 심장은 관상 동맥이라는 두 개의 작은 동맥들에 의해 영양분을 공급받으며 내막, 중막, 외막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심장은 근육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속이 비어 있는 장기이며 무게는 약 250~300그램이며 심장은 양쪽 허파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고 정중선상에서 볼 때 2/3가 왼쪽으로 치우쳐 있고 횡격막 위에 얹혀져 있습니다. 심장의 경계는 위쪽은 제2늑연골, 오른쪽은 흉골의 약간 오른편, 왼쪽은 제3~5늑연골까지 걸쳐 있습니다. 심장은 네 개의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는데 이는 좌심방과 우심방 그리고 좌심실과 우심실으로 구..

피는 빨간색인데 혈관이 파란 이유?

피는 빨간색인데 혈관이 파란 이유? 피는 빨간색인데 혈관은 파란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우리 몸의 혈관인 동맥은 우리 몸 속 각 기관에 산소와 영양분을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데 반면 정맥은 각 기관을 거쳐온 혈액이 영양분과 산소를 다 뺏기고 대신 각종 찌꺼기와 이산화 탄소를 다시 심장으로 가져오는 역할을 합니다. 산소와 영양분을 공급하는 동맥은 근육이나 몸 속 깊은 곳에 있어야 역할을 하는데 용이하고 안전하기에 몸속에 숨어있는 것이고 정맥은 비교적 피부와 가까운 곳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우리의 피부로부터 볼 수 있는 혈관은 대부분 정맥입니다. 이 정맥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는 바로 혈관에 따른 혈액 특징에 있으며 혈액은 적혈구, 백혈구, 혈소판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 가운데 우리 몸 속 구석구석에..

우리 몸의 택배 도로망? 혈관

우리 몸의 택배 도로망? 혈관 혈관(血管, blood vessel) 혈관은 동물의 체내에 존재하는 가느다란 관으로, 산소와 영양분을 실은 혈액을 온몸 구석구석 흘려 보내고 말초세포와 조직이 배설하는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받아들여 운반하여 배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혈관은 구조와 기능에 따라 동맥, 정맥, 모세혈관으로 나뉘며 동맥은 산소나 영양을 함유한 혈액을 심장에서 온몸으로 보내는 관으로, 점차 가늘어져 모세혈관으로 이어지며 모세혈관과 조직 사이에서 물질 교환이 이루어루어지고 모세혈관은 다시 모여 정맥이 되어 심장으로 돌아갑니다. Blood vessels, Pk0001 CC BY 이러한 사람의 혈관은 총 길이가 120,000km에 이릅니다. 1. 동맥(動脈, artery) 동맥은 심장에서 온 몸으로 ..

반응형